Blender Procedural Texture - 노드만으로 텍스처 만들기
🎨 Procedural Texture란?
**Procedural Texture(절차적 텍스처)**는 이미지 파일 없이 Blender의 **Shader Editor**에서 노드를 활용해 생성하는 텍스처입니다.
이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**해상도 독립적**, **무한 확장 가능**, **세밀한 조절 가능**하다는 점입니다.
🛠️ 기본 Procedural Texture 노드
노드 | 설명 |
---|---|
Noise Texture | 자연스러운 패턴 생성 (돌, 클라우드 등) |
Voronoi Texture | 셀 패턴 생성 (벌집, 균열 효과) |
Musgrave Texture | 복잡한 지형이나 거친 텍스처 표현 |
Wave Texture | 파도, 결 패턴 생성 |
Brick Texture | 벽돌 패턴 생성 |
🔍 기본적인 Procedural Texture 적용법
✅ **Blender에서 Procedural Texture를 적용하는 방법:**
1. **Shader Editor 열기** → "Shading" 탭 선택
2. **노드 추가 (Shift + A)** → Texture → 원하는 텍스처 노드 추가
3. **Mapping & Coordinates 설정** → "Texture Coordinate", "Mapping" 노드 연결
4. **Base Color 또는 Bump로 연결** → 머티리얼에 적용
🧩 실전 예제 - 기본 Procedural Texture 제작
✅ **1. 노이즈 텍스처로 돌 표면 만들기**
- "Noise Texture" 노드를 추가
- "Scale", "Detail", "Roughness" 값 조정
- "ColorRamp"로 색상 조절 후 Base Color에 연결
- "Bump" 노드를 사용해 표면에 깊이감 추가
✅ **2. Voronoi Texture로 균열 패턴 만들기**
- "Voronoi Texture"를 추가하고 "F1" 설정
- "Mapping" 노드를 사용해 크기 조절
- "ColorRamp"를 이용해 선명한 패턴 조절
✅ **3. Wave Texture로 나무 질감 만들기**
- "Wave Texture"를 추가하고 "Bands" 선택
- "Scale"과 "Distortion" 값을 조정하여 나무 결 느낌 적용
- "Bump" 노드 연결 후 Roughness 값을 조정
🚀 Procedural Texture 활용 팁
- **Texture Coordinate 사용** → "Generated" or "Object" 모드 추천
- **ColorRamp로 색 조절** → 원하는 톤과 대비 조절 가능
- **Bump & Normal 적용** → 질감을 더욱 강조
- **노드 그룹화 (Ctrl + G)** → 여러 노드를 묶어서 재사용 가능
🎯 마무리
Procedural Texture를 활용하면 **무한히 확장 가능한 텍스처를 생성**할 수 있습니다.
특히,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서 **이미지 텍스처의 용량을 줄이고 최적화**하는 데 유용합니다.
Blender의 노드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텍스처를 직접 만들어보세요!